백악관
헤드라인 뉴스
-
'거대 여당'의 입법 독주 vs '소수 야당'의 필리버스터… 25일, 국회 '충돌 열차' 시동
여야가 오는 25일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를 놓고 필리버스터(합법적 의사진행 방해)를 통한 재격돌을 벌일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이 검찰의 수사권 분리를 골자로 하는 정부조직법 개정안과 방송통신위원회 개편 법안 처리를 예고하자, 국민의힘은 이를 '결사 저지'하겠다며 강하게 맞섰다. 절대다수 의석을 가진 민주당은 수적 우위를 바탕으로 법안 처리를 강행할
-
국민의힘, '조희대 회동설'에 "사법부 장악 음모" 강력 반발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20일, 최근 제기된 '조희대 대법원장·한덕수 국무총리 회동설' 의혹은 조작된 음성파일에 근거한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강하게 규탄했다. 장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연 긴급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의혹 제기는 "사법부 장악을 위한 거대한 음모에서 비롯된 파렴치한 중대 범죄"라고 규정했다. 그는 이번 의혹 제기의 궁극적인 목표가 대법원장을
-
트럼프의 선전포고: "정부를 비판하는 언론은 불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자신과 정부를 향한 언론의 비판을 "진짜로 불법"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언론이 훌륭한 이야기를 가져다가 나쁘게 만든다"며 이같이 밝혔으나, 언론의 비판이 어떤 법에 위배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번 발언은 그가 방송사 면허 취소를 거론하며 언론을 압박한 지 하루
-
270만 시대의 그림자, '기록 없는 죽음'
국내 체류 외국인이 270만 명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지만, 이들의 사망 원인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통계 시스템이 없어 실태 파악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민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외국인 사망 통계의 부재'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국내에서 사망한 외국인의 사망 원인은 '병사'와 '기타'가 전체의 94.1%를 차지했다. 이는
-
금융 대수술 나선 정부, '150조 펀드'로 미래 먹거리 키운다
금융위원회가 저성장 구조를 극복하고 한국 경제의 재도약을 이끌기 위해 150조 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를 출범시키고 '생산적 금융으로의 대전환'을 추진한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19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제1차 생산적 금융 대전환 회의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이번 회의는 산업계 대표들이 다수 참석해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실물 경제와 금융의
-
'트럼프 관세'도 못 막았다…美 핼러윈 소비, 사상 최대로 '들썩'
연말 소비 시즌의 시작을 알리는 미국의 핼러윈 관련 지출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경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올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19일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소매협회(NRF) 보고서를 인용해, 올해 핼러윈 총지출 규모는 사상 최대인 131억 달러(약 18조 2천억 원)에 이를 것이라고 보도했다. NRF가 이달 초 8천여 명의
-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의 명과 암: '경제'는 호평, '외교'는 비판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60%를 넘어섰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전주 대비 2%포인트 오른 60%로 나타났다. 부정 평가는 3%포인트 내린 31%로 집계됐으며, 9%는 의견을 유보했다. ◇ 긍정 평가
-
중국의 '선택과 집중', 구글 놓고 엔비디아 정조준
미국과 무역 협상 중인 중국이 구글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중단했다. 이는 압박 대상을 미국의 핵심 기술 기업인 엔비디아로 변경해 실효성을 높이는 동시에, 협상에 유연성을 보일 수 있다는 메시지를 미국 측에 전달하려는 전술적 변화로 풀이된다. 18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시장 지배력 남용
-
'텃밭' 다지기 나선 민주당, 광주에 '역대급 예산' 보따리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18일 '텃밭'인 광주를 찾아,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역대 최대 규모의 국비 지원을 약속했다. 핵심은 광주를 '인공지능(AI)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날 광주시청에서 열린 예산정책협의회에는 정 대표와 당 지도부, 광주 지역 국회의원, 강기정 시장 등이 참석했다. 정 대표는 5·18 민주화운동 등 광주의 역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