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자제' 권고 통했나…지난해 응급실 이용 18.6% '급감'

이우창 기자

등록 2025-11-04 09:44

전공의 사직 사태 속 경증·비응급 환자 9.7%p 감소…중증 환자 비중은 오히려 늘어



응급실로 이송되는 환자응급실로 이송되는 환자. 연합뉴스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인한 의료 공백이 발생한 지난해, 전국의 응급실 이용 건수가 직전 해 대비 18.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가 경증 환자의 대형병원 응급실 이용 자제를 권고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 결과, 응급실을 찾은 경증·비응급 환자 비중은 크게 줄고 중등증 이상 환자 비중은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4일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응급실 이용 건수는 약 784만 건으로, 2023년 약 964만 건 대비 180만 건(18.6%)가량 줄었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제공


인구 1천 명당 응급실 이용 건수 역시 2023년 187.9건에서 2024년 153.2건으로 18.5% 감소했다. 전반적인 응급실 이용이 감소한 가운데, 환자 중증도 구성은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응급실 이용 환자 중 경증 및 비응급(KTAS 4~5등급) 환자 비중은 2023년 46.9%에서 지난해 37.2%로 9.7%포인트 감소했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제공


반면, 중증 응급으로 의심되는 중등증 환자(KTAS 3등급) 비중은 2023년 45.7%에서 지난해 52.9%로 7.2%포인트 증가했다. 


이로써 중증 응급 환자(KTAS 1~2등급)를 포함한 중등증 이상 환자의 전체 비중은 2023년 53.1%에서 지난해 62.7%로 커졌다.


이는 의정 사태 중 정부의 권고에 따라 경증 환자들이 대형병원 응급실 이용을 자제한 결과로 풀이된다. 한편, 전공의 업무 공백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응급실 도착 소요 시간은 예년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저작권자ⓒ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금지, AI 학습 및 활용금지]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서울 가 5017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FAX050)4427-6389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