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하늘의 '스텔스 삼국지', 美 독주 막으려는 中 J-35의 도전

이우창 기자

등록 2025-11-21 09:55

두바이 에어쇼서 맞붙은 미·중·러 5세대 전투기… 중국, "F-35 구매 어려운 국가가 타깃"



두바이 에어쇼서 비행 중인 美 F-35두바이 에어쇼서 비행 중인 美 F-35. 홍콩 SCMP 캡처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1일, 중국이 자국의 5세대 스텔스 전투기인 '젠(J)-35'를 앞세워 미국 무기 도입이 제한적인 중동 국가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판촉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17~21일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린 두바이 에어쇼에서는 5세대 스텔스 전투기 생산국인 미·중·러 3국 간의 치열한 판매 경쟁이 펼쳐졌다. 


두바이 에어쇼는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최대 규모의 방산 전시회로, 올해는 미국의 F-35와 러시아의 Su-57이 사상 처음으로 한 행사장에 동시에 등장해 이목을 끌었다.


현장에서는 F-35가 고난도 기동력을 선보이며 기술적 우위를 과시하자, 러시아의 Su-57 역시 곡예비행과 초음속 순항 능력을 시연하며 맞불을 놓았다.




J-35A 스텔스 전투기 모델J-35A 스텔스 전투기 모델. 홍콩 SCMP 캡처


중국은 중국항공기술수출입공사(CATIC) 부스에 J-35를 전시하며 존재감을 알렸다. 선양항공공사(SAC)가 개발한 J-35는 J-20에 이은 중국의 두 번째 스텔스 전투기로, 푸젠함·산둥함·랴오닝함 등 항공모함 탑재를 목적으로 개발됐다. 


전자기식 캐터펄트 방식의 이륙이 가능한 J-35는 2012년 첫 시험 비행을 거쳐 2024년 11월 주하이 에어쇼에서 공개됐다. 이어 지난 9월 베이징 전승절 열병식에도 참여해 비행 능력을 입증한 바 있다.


SCMP는 이번 3국의 동시 참가가 중동 시장을 둘러싼 치열한 경쟁 상황을 방증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미국이 복잡한 중동 정세로 인해 사우디아라비아와 UAE 등의 F-35 구매 요청을 거절해 온 상황은 중국과 러시아에 반사이익으로 작용하고 있다.




러시아군 수호이-57 전투기러시아군 수호이-57 전투기. 로이터=연합뉴스

다만, 지난 1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을 방문한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에게 F-35 판매 의사를 밝힌 점은 시장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현재 F-35는 주로 미국의 동맹국 12개국에 인도된 상태다.


군사 전문가들은 중국의 무기 체계가 러시아보다 높은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했다. 티모시 히스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러시아의 Su-57이 주로 이란을 겨냥하는 것과 달리, 기술과 품질 면에서 러시아와 대등하거나 이를 상회하는 중국의 J-35는 중동 내에서 더 큰 기회를 얻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리제로테 오드가드 허드슨연구소 수석연구원 또한 "J-35는 미국 F-35를 구매할 여력이 없거나 구매를 거절당한 국가들에 합리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다"며 "중국은 첨단 전투기 시장의 새로운 경쟁자로 부상했다"고 진단했다.


영국 군사전문지 제인스는 미국의 이번 에어쇼 F-35 참가는 기술적 우위 과시와 동시에 중동 시장 방어를 위한 전략적 행보라고 평했다.





 [저작권자ⓒ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금지, AI 학습 및 활용금지]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서울 가 5017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FAX050)4427-6389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