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극초음속 비행체 400km 성공" vs 韓 "350km, 변칙기동 없었다"

이우창 기자

등록 2025-10-23 10:13

신형 '화성-11마' 실체 두고 '신경전'… APEC 앞둔 무력시위



북한, 새 무기체계 극초음속 비행체 시험 발사북한 미사일총국은 지난 22일 중요 무기체계의 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3일 보도했다. 통신은 "평양시 력포구역에서 북동방향으로 발사된 2개의 극초음속비행체는 함경북도 어랑군 궤상봉등판의 목표점을 강타했다"고 전했다. 이번 시험발사는 박정천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과 김정식 군수공업부 제1부부장, 장창하 미사일총국장이 참관한 가운데 진행됐다.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22일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이달 초 공개한 신형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1마'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발사는 불규칙한 궤적을 그리는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로 남한의 방공망을 무력화하고, 이달 말 열릴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3일, 전날 새로운 무기체계인 극초음속비행체 두 발을 시험 발사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평양 역포구역에서 발사된 비행체는 약 400km 떨어진 함경북도 어랑군 목표 지점에 탄착했다. 


이는 전날 우리 군이 '평양 인근 중화 일대'에서 발사돼 '약 350km'를 비행했다고 발표한 것과 발사 지점 및 비행거리에서 차이를 보인다.


북한이 기종을 구체적으로 밝히진 않았으나, 전문가들은 공개된 외형을 근거로 이달 초 무장장비전시회에서 처음 등장한 '화성-11마'로 평가했다. 


이 미사일은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로 불리는 화성-11형 발사체에 날개가 달린 극초음속 활공체(HGV) 탄두를 장착한 형태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마하 5 이상의 속도와 변칙 기동으로 요격이 어려워 '게임 체인저'로 불린다. 다만, 우리 군은 이번 미사일 궤적에서 고도와 방향을 바꾸는 변칙 기동은 식별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이는 북한의 기술이 아직 완전한 수준에 이르지 못했음을 시사하는 대목으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시험발사에 불참한 점도 이러한 분석을 뒷받침한다.


전문가들은 이번 시험만으로 북한의 기술력을 평가하긴 이르다면서도, 한미 방공망 무력화를 위한 추가 도발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군사전문기자 출신인 유용원 의원은 "저고도 활강 성능보다는 정확도를 과시하려는 의도"로 분석했다. 양무진 교수는 "사거리상 남측을 겨냥한 무기"라고 지적하며, "경주 APEC을 염두에 둔 긴장 고조 및 존재감 과시용"이라는 정치적 목적도 있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금지, AI 학습 및 활용금지]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서울 가 5017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FAX050)4427-6389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