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골 얽히고 비까지…울산화력발전소 실종자 2명 수색 난항

황경호 기자

등록 2025-11-08 12:42

사고 사흘째, 소방 당국 "장비만으론 한계"…인접 4, 6호기 발파 해체키로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구조작업7일 오전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현장에서 119구조대원들이 붕괴된 구조물 안에서 구조장비를 이용해 구조작업을 하고 있다. 소방청 제공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5호기) 붕괴 사고 실종자 2명을 찾기 위한 수색 작업이 8일로 사흘째 이어졌으나 여전히 난항을 겪고 있다.


소방 당국은 밤사이 구조대원 40여 명을 5인 1조로 교대 투입하고, 드론, 열화상 탐지기, 내시경 카메라 등 특수 장비를 동원해 야간 수색을 벌였으나 실종자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현장에는 때때로 비가 내리면서 수색에 어려움을 더했다. 이번 사고로 인한 매몰자는 총 7명으로, 실종자 2명을 제외하고 사망 3명, 사망 추정 2명이다.




'울산화력 사고 사흘째'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사흘째인 8일 오전 발전소 내 보일러 타워 4호기 뒤편 이미 붕괴한 5호기에서 구조와 수색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 오전 8시 현재까지 매몰자는 총 7명으로 실종자 2명을 제외하고 사망자는 3명, 사망 추정자는 2명이다. 연합뉴스


소방 당국은 무너진 타워의 철재 구조물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구조안전기술사 등 전문가들과 효율적인 수색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김정식 울산남부소방서 예방안전과장은 "구조물 내 철재 빔 등으로 접근이 굉장히 어렵다"며 "현재 장비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구조작업7일 오전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현장에서 119구조대원들이 붕괴된 구조물 안에서 구조장비를 이용해 구조작업을 하고 있다. 소방청 제공


특히, 붕괴한 5호기 양쪽에 위치한 4호기와 6호기 역시 추가 붕괴 위험이 있어 구조 활동에 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이에 는 원활한 수색을 위해 피해자 가족과 협의해, 다음 주 중 4호기와 6호기를 발파 해체하기로 했다.


한편, 김민석 국무총리는 이날 사고 현장과 사망자 빈소가 마련된 장례식장을 찾아 현황을 확인하고 유가족을 위로했다.





[저작권자ⓒ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금지, AI 학습 및 활용금지]


황경호

황경호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서울 가 5017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FAX050)4427-6389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