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멍 뚫린 'K-의료정보'…복지부 해킹 시도 166배 폭증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9-29 06:48

건보공단·심평원 등 산하 기관도 속수무책…국민 민감정보 유출 '초읽기'



 ▲픽사베이 캡처



올해 8월까지 보건복지부를 대상으로 한 해킹 시도가 5만 6천여 건을 넘어서며 작년 대비 166배 폭증했다. 해당 기관들은 국민의 질병, 소득 등 민감 정보를 다수 보유하고 있어 전면적인 보안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복지부에 대한 해킹 시도는 2023년 338건에서 올해 8월까지 5만 6,208건으로 급증했다.


주요 산하 기관의 상황도 심각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해킹 시도는 7만 5천여 건으로 작년 대비 2배 가까이 늘었고, 특히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은 작년 대비 13배가 넘는 6만 8천여 건의 공격을 받아 가장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역시 5만 3천여 건으로 2배 이상 늘었다. 복지부를 포함한 전체 산하기관의 해킹 시도는 2022년 대비 151% 증가했다.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한 복지부는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기관별 위험도를 분류하여 고위험 기관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단계적 보안관제 체계'를 수립 중이며, 외부 공격을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차단하기 위해 오는 11월까지 해커가 침투할 수 있는 경로를 사전에 파악하고 관리하는 '공격표면관리'(ASM) 솔루션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김선민 의원은 "국민의 재산과 소득 정보까지 다루는 기관들에 대한 해킹 시도가 급증해 큰 피해가 우려된다"면서, "정보 중요도에 따라 고위험 기관은 특별 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금지, AI 학습 및 활용금지]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