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인 뉴스
-
이재명 대통령, '규제와의 전쟁' 선포... "책임은 정부가 지겠다"
15일,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제1차 핵심 규제 합리화 전략회의'를 직접 이끌었다. 이 회의에서는 데이터, 자율주행, 로봇 등 미래 성장 동력의 발목을 잡는 규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들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대통령 직속으로 '규제 합리화 위원회'를 신설하겠다고 공언하며, 규제 개혁에 대한
-
북한, '영구적 핵보유국' 선언…'비핵화' 요구한 미국에 초강경 반발
북한이 15일, 자신들의 핵보유국 지위는 법적으로 '영구히 고착된' 불가역적인 사안이라고 거듭 확인했다. 또한, 이 지위를 변경하려는 어떤 시도에도 반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스트리아 빈 주재 북한대표부는 최근 국제원자력기구(IAEA) 이사회에서 미국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입장을 밝힌 것을 '엄중한 정치적 도발'로 규정하고 이를 강력히 규탄했다.
-
전운 감도는 국회…'내란 청산' vs '의회 독주' 대정부질문 격돌
국회가 15일부터 나흘간의 일정으로 대정부 질문에 들어간다. 이번 대정부 질문에서는 '내란 청산'을 내세운 여당과 '의회 독주'를 비판하는 야당이 정면으로 충돌할 것으로 보여 정국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국회는 15일 정치 분야를 시작으로 16일 외교·통일·안보, 17일 경제, 18일 교육·사회·문화 분야 순으로 질문을 진행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
'1조 달러 사나이' 머스크를 향한 교황의 일침…"가치를 잃으면 무엇이 중요한가"
교황 레오 14세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최대 1조 달러에 달하는 성과 보상안을 정면으로 비판하며 현대 사회의 부의 쏠림 현상에 대해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레오 14세는 14일(현지시간) 공개된 가톨릭 매체 '크룩스'와의 첫 공식 인터뷰에서 "한 사람이 세계 최초의 1조 달러 부자가 될 수 있다는 기사를 봤다"며, "만약 그것이
-
벼랑 끝 한미 관세 협상, 美 '수용 or 관세 폭탄' 최후통첩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이 현지시간 12일 뉴욕에서 만나 교착 상태에 빠진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회담은 지난 7월 양국이 관세율 인하와 대미 투자에 합의한 이후, 세부 이행 방안을 두고 실무 협상이 난항을 겪는 가운데 이루어졌다. 앞서 한미는 미국이 대(對)한국 상호관세를 15%로 낮추는 대신,
-
민주당, ‘내란재판부’ 칼 빼드나…사법부 향한 초유의 ‘입법’ 압박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대통령의 "내란전담재판부가 무슨 위헌인가"라는 발언을 기점으로, 국회 입법을 통한 '내란전담재판부' 설치 카드를 꺼내 들며 사법부를 향한 공세 수위를 한층 높였다. 12일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하며 "내란전담재판부는 국회 입법 사항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밝혔다. 그는
-
미·중 정상회담 D-?, 테이블 밑 '총성 없는 전쟁'
미국과 중국의 국방·외교 수장들이 연쇄 통화를 갖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방중을 위한 사전 조율에 나섰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이 같은 고위급 접촉이 양국 정상회담을 앞두고 의제를 조율하려는 목적이라고 12일 보도했다. 지난 9일과 10일,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과 둥쥔 중국 국방부장,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왕이 중국
-
국민의힘, 민주당 '특검 합의 번복'에 "정권 차원의 합작 사기극"
▲송언석 원내대표가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12일, 더불어민주당이 채상병 특검법 등 3대 특검법 개정안에 대한 여야 수정 합의를 번복한 것을 두고 "민주당 지도부가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우스운 촌극을 보였다"고
-
추석 전 10만원 더! 2차 국민지원금 22일 신청 시작
정부가 오는 9월 22일부터 전 국민 90%에게 1인당 10만 원씩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지급 대상은 소득 하위 90% 국민이며, 지난해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이 12억 원을 초과하거나 금융소득 합계액이 2천만 원을 넘는 고액자산가 가구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지급 대상자 선정은 가구 단위로 이루어지며, 지난 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