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70년 동맹의 갈림길…'안보 청구서' 놓고 정상 담판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8-25 09:24

美 "주한미군, 대만 유사시 투입"…'전략적 유연성' 노골적 압박

韓, 486조 '마스가(MASGA)' 투자로 맞불…안보-경제 '패키지 딜'



이재명 대통령 부부 미국 워싱턴DC 도착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 도착해 공군 1호기에서 내리고 있다. (사진= 워싱턴 연합뉴스) 



한미 정상이 70년 동맹의 미래를 놓고 마주 앉는 가운데, 미국 언론들은 이번 회담이 주한미군의 역할 재편과 486조 원 규모의 '투자 청구서'를 둘러싼 팽팽한 줄다리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뉴욕타임스(NYT)는 24일(현지시간) "두 정상은 집권 전 암살 시도에서 살아남았고, 북한 지도자 김정은과의 만남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면서도 "70년에 걸친 동맹 관계, 특히 중국과 대만의 잠재적 충돌에 대해선 양측의 우선순위가 갈린다"고 보도했다.


NYT는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의 역할을 전통적인 대북 억제를 넘어 중국 견제로 확장하려 한다고 분석했다. 신문은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이 자국 방위에 더 큰 책임을 지라고 요구한다"며 "미국이 '전략적 유연성'이라 부르는 이 정책은, 기존의 대북 억제 임무를 넘어 주한미군을 대만 등 한반도 밖 분쟁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골자다. 이에 한국은 대북 방어 공백과 의도치 않은 분쟁 개입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NBC 방송 또한 "양국 지도자들에게 더 중요한 주제는 수십 년 된 군사 동맹의 미래"라며 미국의 요구가 트럼프 체제에서 더욱 강해졌다고 보도했다. NBC는 미 고위 관계자들의 발언을 인용해 "미국이 주한미군 유지비를 더 내라고 압박하는 것 외에도, 대만을 둘러싼 중국과의 충돌에 대응할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주한미군을 재편하려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


군사 동맹 현안과 맞물려 '경제 청구서' 또한 회담의 핵심 축을 이룬다. NBC는 "이번 회담에는 한국이 미국 산업을 위한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기금 세부 사항을 구체화하는 논의가 포함될 수 있다"며 "이는 트럼프가 한국과 관련해 강조해 온 조선업 협력을 중심으로 한다"고 전망했다.


앞서 한국은 '마스가(MASGA·미국의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로 명명된 1,500억 달러 규모의 한미 조선 협력 펀드를 포함, 총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관세, 주한미군 역할, 한국의 국방비 지출"을 예상 의제로 제시하며, 특히 '한국이 먼저 제안한 '마스가(MASGA)' 카드가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에 부응하며 강력한 협상 지렛대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 WSJ은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에 대비해 격차가 벌어지는 해군력을 시급히 보강해야 하며, 이를 위해 한국 조선산업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해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은 주일 미군 제7함대의 비전투 선박 수리를 위한 미 해군 정비 계약을 수주한 바 있다.


한편, NYT는 이러한 미국의 압박 속에서 "다수의 한국인이 미국의 보호에 의존하는 대신 자체 핵무기를 보유하기를 원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전하며 변화하는 한국 내 기류를 짚었다.


회담 직후 예정된 이 대통령의 필리조선소(한화오션 인수) 방문은, 이번 회담의 성격이 안보와 경제를 연계한 '패키지 딜'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행보로 풀이된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