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한일 과거사 비판 각오했다…'투트랙' 정면돌파"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8-25 09:45

"첫술에 배부를 순 없어…시간 주면 가시적 성과 낼 것"

'친중' 비판엔 "국익이 우선…그런 의미의 친중은 해야"



이재명 대통령, 공군 1호기 기내 간담회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일본 도쿄 하네다공항 이륙 뒤 미국 워싱턴DC로 향하는 공군 1호기 기내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 공군1호기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한일 과거사 문제와 실질적 협력을 분리하는 '투트랙' 기조를 둘러싼 국내 비판에 대해 "비판받을 각오를 했다"며 정면 돌파 의지를 밝혔다.


일본 순방을 마치고 미국 워싱턴 D.C.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 안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 국민 일각에서 그런 문제를 지적하는 것을 잘 알고 있고, 그같은 지적을 당할 각오도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는 과거사 문제와 실질적 협력을 연계하지 않는 '투트랙' 기조를 고수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저 역시 과거부터 과거사 문제나 영토 문제 등은 반드시 시정해야 한다고 수없이 말씀드려 왔다"고 전제하면서도, "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고 해서 경제·안보·기후·국민교류 등의 협력을 다 팽개칠 필요는 없지 않느냐는 말씀도 드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가 만족할 수준으로 이 문제들이 완전히 해결되면 가장 좋겠지만, 세상에 그런 일은 없다. 언제나 상대가 있기 마련"이라며 현실적인 외교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그러면서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으니 아무것도 하지 말자'는 주장은 정치권에 만연한 풍조"라고 지적하며, 이를 현실성 없는 비판이라고 일축했다.




이재명 대통령 부부, 이시바 일본 총리 부부와 기념촬영1박2일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3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부인 이시바 요시코 여사와 양국 정상 부부 친교 행사를 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도쿄 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이번 방일 성과에 대해 "우리가 한 일 중에 손해 본 것은 없지 않느냐"고 반문하며 "한꺼번에 더 많이, 완벽하게 얻지 못했다고 해서 일부를 얻는 행위마저 포기하면 아무런 진척이 없지 않겠나"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중 관계를 예로 들며 자신의 외교 철학을 설명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고 양국이 서로 경쟁하거나 대결하지만, 한편으로는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있다"며 복잡한 국제 관계 속에서 실용적 접근이 중요함을 역설했다. 이어 "저도 국정을 맡기 전부터 이처럼 소위 '투트랙'으로 가야 한다는 말을 많이 했다"고 덧붙였다.


나아가 이 대통령은 이번 회담이 구체적인 합의는 없었지만 "상호 간 신뢰와 기대를 높여 과거사 문제에서도 약간의 진척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그는 "과거사 문제는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배려를 키워야 해결될 수 있다"며 "지금은 조금씩 시작하는 단계지만,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배려가 깊어지면 과거사 문제에서 훨씬 전향적인 조치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 총리 관저 도착한 이재명 대통령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 도착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인사하고 있다. (사진= 도쿄 연합뉴스) 


특히 "첫술에 배부르려 하면 체할 수 있지 않나"라는 비유를 통해 조급한 접근법을 경계하며 "조금만 시간을 주시면 과거사 문제나 영토 문제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동시에 이 대통령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회담에서 실질적인 협력이 이루어졌음을 부각했다. 그는 "이시바 총리는 제 특별한 요청을 받고서 미일 협상에 대한 내용을 조금 구체적으로 알려줬다. 이 때문에 소인수회담 시간이 길어지기도 했다"며 "향후 (대미) 협상에서도 세부적으로 협조해주기로 약속했다"고 소개했다.


또한 미국에 앞서 일본을 먼저 방문한 이례적인 일정에 대해서는 "한미일 협력 관계 구축이라는 측면에서 유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며 "과거에는 언제나 미국을 먼저 갔다고 하지만, 그런 관례에 얽매일 필요 없이 어느 것이 효율적인지 생각해 쉽게 정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자신의 외교 노선을 '친중'으로 규정하는 일각의 시선에 대해서도 정면으로 반박했다. '미국에서는 이 대통령의 친중 성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는 취지의 질문에 "내가 친중이라는 것은 주관적 평가에 불과하다"며 "외교에서 친중·혐중이 어디 있느냐"고 되물었다.


그는 "국익에 도움이 되면 가깝게 지내는 것이고, 도움이 안 되면 멀리하는 것 아닌가"라며 국익이 외교의 최우선 기준임을 분명히 했다.


이어 "우리 외교의 근간은 한미동맹이지만, 그렇다고 중국과 절연하고 살 수가 있느냐"고 반문하며 "중국과 절연하지 않아서 제가 친중이라고 한다면, 그런 의미에서의 친중은 해야 한다"고 소신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러다가 저에 대해 친북·친러, 어쩌면 친공(친공산주의)이라는 말이 나올지도 모르겠다"고 말하며 이념적 잣대로 외교를 재단하는 행태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