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병인력 부족?…'똑똑한 나노 센서'가 24시간 욕창 감시

이우창 기자

등록 2025-10-13 09:38

배설물 암모니아까지 감지…스마트폰으로 환자 상태 바로 확인



무선 센서 플랫폼 기술 원리무선 센서 플랫폼 기술 원리. 전기연 제공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나노 소재를 기반으로 욕창을 예방하는 무선 센서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전기연 최명우 박사팀, 한국화학연구원, 국립창원대학교 연구팀의 공동 성과다. 욕창은 지속적인 압력으로 피부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기존에는 관리 인력 부족으로 환자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기 어려워 예방에 한계가 있었다.


공동 연구팀이 개발한 센서 플랫폼은 압력·온도뿐 아니라 환자의 배설물에서 나오는 암모니아 가스를 감지한다. 핵심 소재인 황화구리(CuS) 나노물질은 3차원 다공성 구조로 제작됐다. 이 구조 덕분에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소량의 암모니아까지 신속하게 탐지해 환자의 위생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배터리나 전선 없이 스마트폰 등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 받아 작동한다. 피부에 센서를 부착하는 것 만으로 환자 상태를 자동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표지논문 게재표지논문 게재. 전기연 제공


연구팀은 김해한솔재활요양병원의 협조 아래 임상 시험을 진행하여 센서의 현장 적용성과 유효성을 입증했다.


실제 검증 과정에서 의료진과 보호자는 스마트 기기로 환자의 피부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함으로써 욕창 발생을 성공적으로 예방할 수 있었다. 이는 환자 관리의 효율을 한층 높이는 성과로 이어졌다.


이번 연구 성과는 재료 공학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의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최명우 박사는 "향후 진단 영역을 감염 조기 감지 등으로 확대하고 재택 간병 시스템과 연계해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금지, AI 학습 및 활용금지]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서울 가 5017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FAX050)4427-6389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